엔진 오일 설명

Motorcycle 2018. 3. 29. 03:33

https://www.youtube.com/watch?v=HwRIE0J5I0w


기능

1. 윤활

2. 엔진의 기밀성 유지

3. 엔진의 냉각 기능

4. 엔진의 청정상태 유지

posted by ned3y2k

타이어 공기압

Motorcycle 2018. 3. 29. 02:10

차로 설명된 영상이지만 오토바이도 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참고해볼만한 영상입니다.

다만 적정공기압은 생각을 해보아야 하는것이 타이어 모양이 다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bJSKgwhf0Y

posted by ned3y2k

오토바이 시동이 안걸리는 경우

Motorcycle 2017. 9. 8. 21:37

오토바이 시동이 안걸리는 경우


간단한 문제 및 해결 가능한 문제


- 사이드스탠드 스위치에 문제가 있는 경우,

  교체나 임시로는 합선을 시켜주시면 됩니다.


- 엔진 리저브 스위치(연료 벨브)가 Off로 된경우

   

   당연한거겠지만 연료를 차단한 상태에서는 시동이 걸리수도 있지만 카뷰레터나 엔진 내부에 연료가 다 떨어지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됩니다.


- 기어가 들어가 있는 경우

  사이드 스탠드를 확인하세요. 또는 클러치를 잡은 상태에서 시동을 걸어야 할수도 있습니다.


- 클러치 케이블 문제

  사이드스탠드 스위치와 동일합니다.


- 키 문제

  키가 무슨 문제인지 이야기 하시는분도 있겠지만 도난방지(이모빌라이저) 장치가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모빌라이저는 전자장비이며 고장이 날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저도 복사키의 이모빌라이저가 고장이나서 스타트 모터(세루모터)는 돌아가지만 점화 플러그에 전기가 들어가지 않아 시동이 걸리 않았습니다.(이경우 강제 시동도 걸리지 않습니다.)

  이 경우 이모빌라이저를 키에서 빼서 키 박스(키를 끼우는곳)에 이모빌라이저를 직접 접촉하여 시동을 시도해볼수 있겠습니다.


- 킬 스위치

  킬 스위치를 확인하세요. 당연한거겠지만요.


- 배터리 전압 문제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우 아예 스타트 모터가 돌아가지 않거나 스타트 모터가 힘 없이 돌아갑니다.

  전자장비(라이트, 계기판등)가 들어온 상태라도 전압이 낮으면 스타트 모터가 정상적으로 엔진을 돌릴수 없습니다.

  이 경우 모든 전자장비(USB, 라이트, LED, 시가잭)등을 끌수 있다면 끄시고 다시 시도 해보세요.

  잘 안되면 오토바이인 경우 강제 시동을 걸수 있지만 킥 스타터가 없는 스쿠터는 배터리 구입을 하셔야 합니다.



자가 해결 불가(또는 힘든 문제)

- 점화플러그, 점화코일 이상

  세루가 힘있게 돌아도 점화가 불가능 하기 때문에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물론 이정도로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일에 문제가 생기거전에 대부분 교체를 하시겠지요....


- 연료라인 빠짐

  빠진 연료라인을 끼우기만 하면 되지만 찾는게 어렵더군요!


- 연료라인(인젝션 펌프등) 누유, 막힘

   이외로 주변분들에게 자주 생기는 문제중 하나인듯 합니다.

   연료를 자주 채우지 않고 끝까지 다쓰면 이런 문제가 많이 


- 엔진 스타트 스위치, 킬 스위치 녹

   저는 엔진 스타트 스위츠를 분해 해서 WD-40와 그리스로 적절하게 조치를 취하여 살린적이 있습니다.


- 제네레이터, 레귤레이터 문제

   집에 휘발유 차량이나 충전 도구가 있다면 배터리를 최대로 채우고 가까운 정비 업체로 가시는게 편합니다.

'Motorcy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 오일 설명  (0) 2018.03.29
타이어 공기압  (0) 2018.03.29
오토바이에서 ABS/TCS란? 무엇인가?  (0) 2017.09.08
캬브레터 방식 오토 바이 시동 거는 방법  (0) 2017.07.28
posted by ned3y2k

오토바이에서 ABS/TCS란? 무엇인가?

Motorcycle 2017. 9. 8. 01:37

원본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sCe8y9l5Ags&feature=push-u&attr_tag=uwUX1bA3GmdrLjHu-6


다들 알고 계실거 같은데 일단 정리해봅니다.

참고: https://namu.wiki/w/ABS

https://ko.wikipedia.org/wiki/ABS


ABS(Anti-lock braking system)

급정지시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게(슬립) 도와주는 시스템.


왜 사용하는가?

패닉 상태에서 브레이킹시 사람은 미묘하게 힘 조절하면서 브레이킹하기가 힘듬.

이 경우 급하게 힘을 주면서 타이어가 미끄러지며 자체가 전복되는 경우가 발생함.

(훈련을 하면 가능할지도 모름)


이것을 기계적으로 보조하여 브레이크를 강하게 잡아도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풀어줌.



일반적인 바이크의 습성

대부분의 바이크는 무게가 그렇게 무겁지 않아 지면에 밀착되지 아니하고 튕기면서 움직인다.

이때 브레이크를 급하게 잡으면 타이어가 지면을 정상적으로 잡지 못하고 미끄러진다.

미끄러지던


TCS(Traction control system)

급출발시 타이어가 지면에서 미끄러지는것을 방지.


ABS/TCS

즉 ABS는 정지시, TCS는 출발 및 가속시에 사용한다.

요즘 최신의 바이크는 ABS/TCS를 탑재하지만 ABS/TCS가 없는 바이크를 탈때는 출발/정지시 미끄러질수 있으니 가속 및 감속을 부드럽게 해주는것이 좋다.

'Motorcy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 오일 설명  (0) 2018.03.29
타이어 공기압  (0) 2018.03.29
오토바이 시동이 안걸리는 경우  (0) 2017.09.08
캬브레터 방식 오토 바이 시동 거는 방법  (0) 2017.07.28
posted by ned3y2k

캬브레터 방식 오토 바이 시동 거는 방법

Motorcycle 2017. 7. 28. 18:59

https://www.youtube.com/watch?v=OCaXxBkcdJo


캬브레터 방식 오토 바이 시동 거는 방법


절대 하지 말아야 할것

- 풀스로틀 잡고 시동

- 스로틀 개폐를 반복하는 행위(할리 및 몇몇 바이크 제외)

- 초크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는 스로틀 계페로 조정 하는것이 아니다.


스로틀을 이용한 시동 방법

- 스로틀을 아주 약간만 열어준다.

- 시동후에는 Engine Idling 이 일정해질때 까지 유지하여주고 천천히 스로틀을 닫아준다.

- 후 스로틀을 이용하여(풀스로틀금지) 3천 RPM까지 정도까지 올려주는 행위를 3번 정도 반복하면 모든 Cylinder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초크 레버를 이용한 시동방법

- 초크레버를 당겨준다.

- Engine Idling이 일정하여 지면 초크 레버를 천천히 풀어준다.

- 후 스로틀을 이용하여(풀스로틀금지) 3천 RPM까지 정도까지 올려주는 행위를 3번 정도 반복하면 모든 Cylinder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Motorcy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 오일 설명  (0) 2018.03.29
타이어 공기압  (0) 2018.03.29
오토바이 시동이 안걸리는 경우  (0) 2017.09.08
오토바이에서 ABS/TCS란? 무엇인가?  (0) 2017.09.08
posted by ned3y2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