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Sony PSP, PS2/Tip & Leature에 해당되는 글 3건
- 2007.06.06 [PS2]uLaunchELF v4.12
- 2007.06.04 [PS2]메모리 부팅
- 2007.05.28 [PS2]하드로더, 메모리부팅, 개조? (2)
글
uLaunchELF v4.12
'Sony PSP, PS2 > Tip & Le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2]메모리 부팅 (0) | 2007.06.04 |
---|---|
[PS2]하드로더, 메모리부팅, 개조? (2) | 2007.05.28 |
글
본 내용은 블로그의 주인이 직접 적은 내용이지만 다른 페이지의 내용과 비슷하거나 혹은 똑같은 부분이 존재할수 있습니다.
무단으로 본 자료를 공유하시는 것은 상관 없으나 되도록이면 이동된 페이지 경로를 제거하지 마시고 계속하여 추가하여주셨으면 합니다.
출처:http://blog.naver.com/ned3 ->
본 글은 제가 현재 가지고 있는 30005R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모델에 따라 이 방법을 사용할수 없는 모델도 있으니 이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준비물
본 포스트에 첨부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품 PS1 디스크, 네트워크 어뎁터, 맥스드라이브
가. PS1 디스크 ID 추출
1. 정품 PS1 디스크를 PC에 넣음
2. titedbmaker0.5를 실행
3. Extract ID From System.cnf 클릭
4. PS1이 들어 있는 씨디롬 드라이브에서 System.cnf를 선택
5. Add To Title.DB를 클릭
나. MaxDrive용 세이브 파일 생성
1. PS2 Save Builder 0.8x를 실행
2. 하얀 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하거나 Edit에서 Add File을 볼수가 있는데 클릭해준다.
4. 부팅시 구동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boot.elf로 만들어준다. 없다면 첨부된 파일을 넣어주도록 한다.(첨부된 파일은 키런처)
5. Root/ID에BADATA-SYSTEM라고 적어준다.
6. 디스켓 모양을 눌러주거나File에 있는 Save AS를 눌러줘서 저장해준다.
7. 프로그램을 재실행하거나File에서New를 클릭하여준다.
8. Root/ID에BIDATA-SYSTEM라고 넣어준다.
9. title.db만을 추가하여 저장하여준다.
다. 끝으로...
개조된 PS2가 있는 것을 이용하면 맥스 드라이브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키런처 프로그램을 CD로 굽고 FTP로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인데 그건 차후에 게시한 키런처 응용을 참고하여주었으면 한다.
이글에서 제일 중요한 내용은 title.db를BIDATA/BADATA-SYSTEM넣어주는 것이다.
만일 title.db는 들어 갔는데 boot.elf가 없다면 PS2는 빨간 화면을 출력하게 될것이다.
'Sony PSP, PS2 > Tip & Le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2]uLaunchELF v4.12 (0) | 2007.06.06 |
---|---|
[PS2]하드로더, 메모리부팅, 개조? (2) | 2007.05.28 |
글
본 내용은 블로그의 주인이 직접 적은 내용이지만 다른 페이지의 내용과 비슷하거나 혹은 똑같은 부분이 존재할수 있습니다.
무단으로 본 자료를 공유하시는 것은 상관 없으나 되도록이면 이동된 페이지 경로를 제거하지 마시고 계속하여 추가하여주셨으면 합니다.
출처:http://blog.naver.com/ned3 ->
1. 메모리부팅
5만번(주로 검은색) 초기버전 이하에서만 구동이 되고 그 이후에 출시된 모든 기종은 이 방법을 사용할수 없다.
정품 PS1 디스크가 하나가 있어야 하며 PS2용 메모리 카드가 있어야한다.
또한 PS2 메모리카드로 자유롭게 데이터를 전송할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주로 "맥스 디스크"를 것을 사용한다.).
이글에서는 메모리부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루지 않겠다.
2. 하드로더
하드로더(프로그램)을 구동 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은 아래 3가지로 나뉘어진다.
ㄱ. 메모리에 하드 로더(프로그램)를 넣어주어서 메모리로 부팅 하는 방식
ㄴ. 정품 하드로더 디스크를 넣어서 사용하는 방식
ㄷ. 개조뒤에 하드로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디스크로 구워서 구동하는 방식
하드로더를 사용하기 위해서 준비물은 아래와 같다.
3만번인 경우
A. ㄱ,ㄴ.ㄷ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 시켜줄것
B. 네트워크 어뎁터 , WD, 시게이트, 맥스터 40GB 이상의 E-IDE 디스크(40GB 이하는 호환이 안되는 경우를 더러 보았다.)
5만번인 초기 버전인 경우(주로 검은색)
A. ㄱ,ㄴ.ㄷ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 시켜줄것
B. WD, 시게이트, 맥스터 40GB 이상의 E-IDE 디스크(40GB 이하는 호환이 안되는 경우를 더러 보았다.)
5만번 색있는 것들
A. ㄴ, ㄷ중 하나를 만족시켜줄것
B. WD, 시게이트, 맥스터 40GB 이상의 E-IDE 디스크(40GB 이하는 호환이 안되는 경우를 더러 보았다.)
7만번인 경우(7만번은 직접 테스트를 못해 장담은 못하겠다.)
A. ㄴ, ㄷ중 하나를 만족시켜줄것(단 USB용 하드로더를 구하여야한다.)
B. USB 외장 하드렉, WD, 시게이트, 맥스터 40GB 이상의 E-IDE 디스크
3. 개조
PS2 본체를 뜯고 모드칩을 다는 방법으로 납땜하는 난이도가 어려워 초보자에게는 권장되지 않는 방법이다.
대부분 게임샵에서 개조 대행을 하며 이 방법을 사용한 다음부터는 정식 서비스를 무상이던 유료던 받을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모드칩의 종류는 상당히 여러가지가 있으며 어떠한 모드칩을 달더라도 기본적인 기능인 복사 디스크(서민CD라고들 많이 하지만...)를 돌리는 기능과 코드 프리의 기능은 거의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제일 확실한 방법이며 돌아가지 않는 타이틀은 없다.
다만 납땜 미스로 메인보드가 서서히 죽어가는 경우가 있으니 대행인 경우 업체를 잘 알아보고 하는것을 추천한다.
흔히 개조를 하면 렌즈의 수명이 떨어진다고 하는게 그것은 속설이라고 본다.
현재 주인장은 개조를 한 PS2를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를 보았으나 플스2의 렌즈가 나뻐져서 렌즈를 교환한 사람은 아직까지는 없었다.
이러한 부분만 지켜준다면 개조를 해도 하기전과 큰 차이가 없을것이다.
오염된 디스크(스크레치가 많은 디스크, 이물질이 묻은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너무 싼 미디어(반사율이 떨어지거나 금방 부식되기때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CD로의 복사는 피하고 DVD로 복사를 하는것을 추천한다.
즉 복사 디스크라고 막 다루지 말고 살살 다뤄서 렌즈에 무리를 줄여주는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ODD 특성상 레이저를 많이 뿌리면 당연히 수명이 준다
4. 끝으로
이 글이 간단하게 궁금증을 해소할수 있는 글이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각 항목에 대한 세부 내용은 다른 글로 또다시 다룰 예정이며 이 글은 어디까지나 간단한 소개에 지나지 않는 다는것을 알려주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제까지 많은 PS2를 손에서 보내며 느낀것이 있다면 국내 출시된 기기에서 개조를 하기엔 3만번~5만번 초기가 제일 쉽다.
더군다나 메모리 로더를 사용할수 있는 기종은 이 기종뿐이므로 중고로 살때는 이 두 모델을 선택하는것도 나쁘진 않을것 같다.
'Sony PSP, PS2 > Tip & Le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2]uLaunchELF v4.12 (0) | 2007.06.06 |
---|---|
[PS2]메모리 부팅 (0) | 2007.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