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h 인 경우
.profile .bash 등을 로드 한다._profile
http://www.hot.ee/airm/linux/BLFS6.3/postlfs/profile.html

x11인 경우
.xinitrc 를 로드한다.
http://en.wikibooks.org/wiki/Guide_to_X11/Starting_Sessions 

'Computer > Mac OSX' 카테고리의 다른 글

EFI 파티션 접근  (0) 2012.04.29
맥 OSX 단축키  (0) 2012.02.20
POSIX 환경 기본 쉘 바꾸기.  (0) 2011.08.27
Mac OSX 바람 입력기  (0) 2011.05.04
매직마우스를 트랙패드 처럼 사용하기  (0) 2011.03.30
posted by ned3y2k

POSIX 환경 기본 쉘 바꾸기.

Computer/Mac OSX 2011. 8. 27. 00:11
솔직히 요즘 나오는 리눅스나 유닉스나 기타 많은 POSIX 환경에서는 기본 쉘을 바꿀 필요 없이 엄청 잘되었다.

그러나!  맥은 좀 틀리다 ㅠ.ㅠ
가슴 아프겠지만... 
특히 한글 지원 엄청 빈약하다.
그래서 기어코 쉘을 바꾸는! 무식한 경지까지  오게한 맥이다-_-

일단  http://www.macports.org/ 여기서 해당 하는  mac port를 설치한다.
터미널로 진입 한다.

1. sudo port install bash
2. 암호 입력 
3. sudo vi /etc/shells
4.  최상단(주석이 들어가 있지 않은 위치^^) 정도쯤에 /opt/local/bin/bash를 추가해준다.
(vi 사용 법은 다루지 않겠음)
5. chsh
 6. Shell :뒤에 있는 부분을 /opt/local/bin/bash로 교체
7. 저장뒤 모든 터미널을 닫고 다시 시작한다!

와우! 이렇게 해놓고 보니 "cd 학"  누르고 tab 누르니 원하는데로 " cd 학교"가 찍힌다.
진작에 했어야 하는데^^ 
posted by ned3y2k

Mac OSX 바람 입력기

Computer/Mac OSX 2011. 5. 4. 14:18
http://baramim.blogspot.com/

- 포토샵 한글 전환후 단축키 제대로 동작 안하는 문제.
- 시너지 클라이언트로 동작시 한글 입력 제대로 안되는 문제.

위 두가지 문제가 바람 입력기 설치하니 해결되었습니다. 
posted by ned3y2k

보다 편리한 맥용 터미널 iTem

Computer/Mac OSX 2011. 2. 23. 10:18


주요 기능 소개
전체 화면으로 전환
배경화면 설정, 배경 투명도 설정
애플 스크립, Bonjour 지원
PPC, Intel MAC 10.4, 10.5, 10.6 지원
사용자 키맵핑 지원
ANSI 16 색상 사용자 변경 기능
256 컬러 모드 지원
터미널셋팅 저장 기능
2바이트 언어 지원
posted by ned3y2k

MAC OSX 알아두면 유용한 명령어

Computer/Mac OSX 2011. 2. 23. 10:02
사용자
passwd 계정명: 비밀번호 변경
sudo 실행파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su 계정명: 비어있으면 관리자로 로그인, 해당계정으로 로그인

파일 시스템
ls: 파일/디렉토리 목록
ls | more: 파일 목록을 페이지 단위로 표시(more 명령어 참고)
dir: ls와 비슷함
cd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이동
mkdir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생성
rmdir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제거
rm 파일명: 파일 제거
rm -rf 디렉토리명: 하위 디렉토리까지 전부 제거
touch 파일명: 해당 파일의 수정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수정, 해당 파일 없으면 빈 파일로 생성
touch -t YYMMDDhhmm.ss 파일명: 원하는 시간으로 수정
  한자리가 될때는 앞에 0을 채워 반드시 2자리로 구성
  - YY: 년도
  - MM: 월
  - DD: 일
  - hh: 시
  - mm: 분
  - ss: 초
cp 원본파일명 대상파일명: 원본을 대상으로 복사
cp -r 원본디렉토리 대상디렉토리: 원본을 대상으로 디렉토리까지 복사
cp -a 원본디렉토리 대상디렉토리: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복사
mv 원본 대상: 파일/디렉토리를 원복에서 대상으로 이동
cat 파일이름: 파일의 내용을 출력
more 파일이름: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space: 다음페이지, b: 이전 페이지)
ln 원본경로 목적지경로: 원본 경로를 목적지 경로로 하드 링크한다.
ln -s 원본경로 목적지경로: 원본 경로를 목적지 경로로 심볼릭 링크한다.
find 경로 -name 찾을파일명: 파일 찾기
which: 명령어 바이너리나 스크립트의 절대경로

압축
 tar cvf [생성될 파일명:예 httpd.tar] [묶을 디렉토리] : 설정한 디렉토리를 포함한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을 묶음
tar xvf [묶인파일:예 httpd.tar] : tar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에 품
tar tvf [묶인파일:예 httpd.tar] : tar파일을 풀지 않고, 파일리스트만 출력
tar cvfz [압축파일명 :예 httpd.tar.gz] [압축할 디렉토리] : 파일을 묶어서 압축함
tar xvfz httpd.tar.gz : tar.gz 압축해제
tar xvfj httpd.tar.bz2 : tar.bz2 압축해제

네트웍
netstat -nu: 연결된 소켓 정보
ifconfig: 네트웍 설졍 정보
dscacheutil -flushcache
  - 이명령어는 10.5, 10.6부터만 적용
  - 10.4는 lookupd -flushcache

프로세스 관리
ps 옵션: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
  -a: 전체사용자
  -l: 자세히
  -x: 백그라운드로 동작중인 프로세스
  -width=수치: 표시되는 글자수
kill -9 프로세스ID: PID로 프로세스 강제종료
killall -9 프로세스이름: 바이너리 이름으로 강제 종료
top: 프로세스 상태를 정리한 상태에서 표시

그외 시스템 명령어
uname -a: pc이름, 커널버전(빌드시간)
uname -m: CPU 아키텍쳐 표시(i386, ppc등)
df -m: 디스크 사용량
w: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목록 표시
last: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사용자 표시
date: 시간 표시

macport 로 설치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명령어
pstree: 프로세스 리스트를 트리구조로 표시
wget URL: 해당 URL의 페이지를 다운로드

명령어 다운받고 싶을때
   - 내장되어있지 않기때문에 macport를 이용하여 설치하여야함
   - macport 설치후
     명령어 sudo port install 명령어
posted by ned3y2k
맥에는 크게 3가지의 프로그램 종류가 있습니다.
Universal(유니버셜), Intel, PowerPC(PPC)등이 있는데 몇몇 분들이 차이점을 구분 못하시는것 같아서 적어서 올립니다.
그외 몇가지 간단한 내용을 덧붙여 올립니다.

왜 바이너리 종류가 구분 되는가?
일단 맥에 사용되는 CPU 종류는
  - Intel CPU
  - APPLE/IBM/모터로라 개발 PowerPC
  - 지금은 보이지도 않는 모터로라 68k
등 위 3가지가 있습니다.
OSX에 들어서는 Power PC와 Intel CPU만을 사용한다.

MAC OS 9에 들어오면서 다행이도 MAC에서 이미 모터로라 CPU를 지원안하기 때문에 OS X에서는 모터로라 CPU를 지원할 필요가 없어져버렸지만 PowerPC는 OSX 초기 버전이 있었기 때문에 기존 사용자들을 위하여 어쩔수 없이 지원을 하여야 했다.

Intel 바이너리
인텔용 바이너리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i386(또는 IA32로 불림), x86_64(또는 IA64로 불림)
i386 바이너리는 32트용이다.
x86_64는 64비트용이다.
PowerPC에서는 실행할수 없다.
대부분의 바이너리는 32비트용과 64비트가 통합되어서 배포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사파리는 통합이며 IPhoto는 32비트 바이너리만 있다.

PowerPC 바이너리
기존에 있었던 PowerPC에 동작하도록 작성된 바이너리입니다.
Intel CPU에서는 이 바이너리를 실행을 할려고 Rosetta라는 에뮬레이터를 이용한다.
Intel CPU에서의 100% 실행을 보장하지는 않고 속도가 유니버셜, 인텔 바이너리 보다 느리다.

Universal 바이너리
PowerPC, Intel 바이너리를 하나의 바이너리로 묶어둔 바이너리다.
사용자 컴퓨터 환경에 맞춰 알아서 선택하여 해당 바이너리를 실행하며 이렇게 묶인 바이너리는 어떠한 포함된 CPU에서도 동작 된다.
단점으로 보자면 여러개의 바이너리가 있다 보니 용량이 증가한다.
Tip: 만일 Intel CPU에서 Intel 바이너리가 몇몇 기능이 제외된 상태이거나 그외 문제가 있다면 Universal 바이너리에서 PPC 바이너리를 선택하여 Rosetta로 다시 구동할수 있다.(해당 프로그램을 파인더에서 선택하고 "로제타 구동"을 선택하면 된다.)
Intel 32/64 비트, PowerPC 32/64비트등 선택적으로 프로그래가 통합하게 된다.

Universal에 대한 잘못된 이야기
Universal이 Intel 바이너리 보다 느리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것은 하드 속도가 정상적으로 나온다면 거의 느껴지지 않는 정도이다.
실행중 속도가 저하되지는 않는다.
이유는 위 내용들에서 설명하듯이 Universal 바이너리는 단순히 PPC와 Intel 바이너리가 통합된 바이너리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ned3y2k

내가 Mac OSX에서 이용하는 프로그램

Computer/Mac OSX 2011. 2. 23. 02:36
개발툴
Coda (Universal): 텍스트 에디터
Apatana Studio 2.0(Universal): 웹 전용 코딩 프로그램(HTML, JS, CSS, PHP등...)
Zend Studio (Universal): PHP 코딩 프로그램
MAMP(Universal): Apache, PHP, MySQL 통합 서버 프로그램
Navicat(Intel, PPC따로 분리됨): DB 서버 관리 프로그램
0xED (Universal): 16진수 에디터
HexEdit (Universal): 16진수 에디터
Adobe Dreamweaver CS5 (Intel): 위지윅 웹 페이지 코딩 프로그램

압축관련 프로그램
Ez7z (Universal): 7z 풀때 유용하다
StuffIt Expander (Universal): 외국에 유명한 압축 파일들을 거즘다 풀수 있다. 그러나 몇몇 RAR파일이 안풀리더라 ㅠ.ㅠ
RAR Command Line Only (Universal): RAR 압축이 안풀리면 커맨드 라인으로 직접 해제한다.

네트워크
FileZilla (Intel): FTP
Fugu (PowerPC): SCP로 파일 전송시 사용, 맥 내부에 있는 SSH 커맨드에 의존한다.

웹 브라우저
구글 크롬 (Intel)
Final Cut Express (Universal)
Firefox (Universal)

사진 관련 프로그램
Xee (Universal): 알씨 같은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Adobe Photoshop CS5 (Intel): 사진 편집 프로그램
Apple Aperture (Intel): 간단판 편집 관리 프로그램. IPhoto 확장 정도라 생각하면 되며 IPhoto 라이브러리가 호환된다.

동영상 관련 프로그램
Apple Final Cut Express (Universal): 동영상 편집시
팟벗 (Intel): 변환 프로그램
Avidmux2 (Universal): 변환 프로그램
Flip4Mac (Universal): Mac에서 WMA, WMV등 MS 오디오, 동영상을 재생할수 있게 지원
무비스트 (Universal): 국산 제작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자막도 지원된다.
VLC (Intel): 외산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자막 지원이 되나 까다롭다.
XBMC (Intel): HTPC로 만들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XLD (Universal): 음악 압축 변경 프로그램, FLAC/OGG/APE/WV/TTA/M4A/AIFF/WAV등의 상호변환을 지원한다.

메신저
Colloquy (Universal): IRC
NateOn (Universal): 네이트온
Microsoft Messenger (Intel): MSN 메신저
Skype: 스마트폰과 음성 통화 된다^^

문서 작업 프로그램
Microsoft Office 2011 (Intel)
iWork '09 (Universal): MS 오피스처럼 문서 작업 프로그램인데 맥에만 있다. 즉 맥 전용

시스템 관련 프로그램
iTerm (Universal): 터미널 프로그램이다. 기본 제공 터미널 보다 편리하더라^^
VirtualBox (Intel): 가상 PC 프로그램, IE용 인터넷 뱅킹에 주로 사용
ProcessWizard(PPC): 프로세스의 우선도를 간편히 변경할수 있다.
SteerMouse (Universal): PC용 마우스에서 특수 단추들을 맥에서 활용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MacPort (POSIX 스크립): POSIX용 바이너리 파일을 맥에 쉽게 설치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http://www.macports.org 참고^^
OnyX (Universal):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Maintenance (Universal):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기타 프로그램
DBG (Java, Universal)L: 도스용 프로그램 구동용(Dosbox 정식 버전은 이것보다 느리다^^)
MD5 (Universal): 파일의 MD5를 구한다. 파일이 제대로 받아졌는지 확일때 이용한다.
NameChange (Universal): 파일 이름을 일괄적으로 변경할때 사용한다
OmniGraffle Professional (Universal): 드로잉 프로그램, MS Visio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되지만 기본으로 제공하는 쉐이프는 극히 적다.
uTorrent (Universal): 토렌트 다운로드 프로그램
OpenLieroX (Universal): 리에로라는 게임^^
TeamViewer (Universal): 원격지원, 팀회의등에 사용한다. 윈도우와 상호 작용 가능하다.
Kega Fusion: Sega Genesis(메가드라이브), SegaCD, GameGear, Master System등의 통합 에뮬이다.

몇몇 프로그램의 스크린샷과 자세한 내용은 제 블로그를 내부에 게시하였습니다.
없는 내용들은 채워 가도록 하지요^^
posted by ned3y2k

맥용 Hex Edit

Computer/Mac OSX 2010. 8. 17. 00:14

'Computer > Mac OS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Mac OSX에서 이용하는 프로그램  (0) 2011.02.23
FUGU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에러  (0) 2011.01.11
맥용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  (0) 2010.08.17
iDMG  (0) 2010.08.17
SSH Tunnel  (0) 2010.08.17
posted by ned3y2k